歸田行 귀전행 蔡濟恭 채제공
전원으로 돌아가는 노래
高牙大纛皆芻狗 고아대독개추구
높다란 깃발도 큰 깃발도 모두 추구이니
一踰鐵嶺無所有 일유철령무소유
철령을 넘어오고 나니 가진 것이 없는데
惟是藥峯雲月色 유시약봉운월색
오로지 약봉에 걸린 구름과 달빛만이
百年與我長相守 백년여아장상수
나와 백년이나 오랫동안 함께 하는구나
淸風不盡壇邊松 청풍부진단변송
풍단 옆 솔밭에 맑은 바람 그치지 않고
綠陰如舊門前柳 녹음여구문전류
문 앞 버드나무 우거진 그늘은 여전하네
階庭花藥雖不治 계정화약수불치
뜨락의 약초꽃은 비록 가꿔 주지 못해도
餘香往往入戶牖 여향왕왕입호유
남은 향이 종종 창문으로 스며드는구나
五雲蓬萊在咫尺 오운봉래재지척
봉래궁 지척에는 오색구름이 끼어있고
長樂夜夜華鯨吼 장락야야화경후
장락당에서는 밤마다 종소리가 울리네
隣里喜我好跋涉 인리희아호발섭
이웃들은 내가 잘 다녀온 걸 기뻐하여
良辰携酒酒盈卣 양진휴주주영유
좋은 날 들고 온 술이 술통에 가득하네
門生喜我早歸來 문생희아조귀래
문생들은 내가 일찍 돌아오니 기뻐하며
五經問質羅左右 오경문질나좌우
오경을 질문하러 좌우에 늘어서 있네
一笑頹然卧石床 일소퇴연와석상
한바탕 웃고 쓰러지듯 석상에 누웠으니
世間此樂堪不朽 세간차락감불후
이 즐거움이 세상에서 오래갈 것 같네
山不負吾吾負山 산불부오오부산
산이 날 버리지 않고 내가 산을 버렸는데
向來形役何其久 향래형역하기구
지금까지의 형역은 어찌 그리 길었던가
樂亭歌吹萬橋月 낙정가취만교월
만세교 달빛에 지락정의 노랫소리 울리고
秋蟬已蛻寧回首 추선이태녕회수
가을 매미 허물 벗었는데 어찌 돌아보리
獨有飢氓仰哺者 독유기맹앙포자
부모님을 봉양하고자 굶주리는 백성들을
思之不釋憂心怮 사지불석우심유
생각하니 걱정스런 마음 풀 길이 없구나
※高牙大纛皆芻狗(고아대독개추구) : 고아(高牙)는 상아로 장식해 높이 내건 천자 또는 대장군의 기(旗)를 말하고, 대독(大纛)은 예전에, 부대를 상징하기 위하여 군중(軍中)에서 쓰는 큰 깃발을 말한다. 추구(芻狗)는 풀을 엮어서 만든 개를 말하는데, 제사를 지내기 전에는 소중하게 여기다가 제사를 지내고 나면 함부로 버리기 때문에 쓸모없는 사물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곧 부귀영화도 덧없다는 의미이다.
※藥峯(약봉), 楓壇(풍단) : 약봉(藥峯)은 남대문 밖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의 집 뒤에 있던 작은 봉우리이다. 풍단(楓壇)은 약봉(藥峯) 아래에 쌓은 단으로, 번암(樊巖)은 그곳에서 문인(文人)들과 시회(詩會)를 자주 열었는데, 이를 풍단시회(楓壇詩會)라 하였다.
※蓬萊(봉래) : 봉래궁(蓬萊宮). 당나라 장안에 있던 궁전의 이름. 원래는 대명궁(大明宮)이었는데 고종(高宗) 때 확장공사를 하여 봉래궁으로 이름을 고쳤다. 여기서는 대궐을 의미한다.
※長樂(장락) : 중국 한(漢) 나라의 궁전 이름으로, 그 안에 태후(太后)가 주거하였던 장신궁(長信宮)이 있었다. 이를 본떠 정조(正祖)는 모후(母后)인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회갑연을 열기 위해 화성 행궁(華城行宮)에 장락당(長樂堂)을 지었는데, 번암(樊巖)은 이 장락당(長樂堂)을 말하는 듯하다.
※華鯨(화경) : 종(鐘)을 치는 나무 공이에 새긴 고래이다. 여기서는 범종(梵鐘)을 가리킨다. 바닷가에는 포뢰(蒲牢)라는 짐승이 있는데, 평소 고래를 무서워하여 고래가 포뢰를 치면 큰 소리로 운다. 그래서 종소리를 크게 하기 위해 종에는 포뢰를 새기고, 이를 치는 공이에는 고래를 새겼다고 한다.
※形役(형역) : 육체(肉體)가 마음을 부린다는 뜻으로, 정신(精神)이 육체나 물질(物質)의 지배(支配)를 받음을 말한다.
※秋蟬已蛻寧回首(추선이태녕회수) : 이미 벼슬 버리고 다 끝났는데 어찌 미련이 있겠는가 라는 의미이다.
※仰哺(앙포) : 자손(子孫)이 어버이를 봉양(奉養)하는 것.
*채제공(蔡濟恭, 1720~1799 ) : 조선 후기 영조(英祖) 정조(正祖) 때 강화유수,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 번옹(樊翁).
'전원시(田園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田家詠 (전가영) 外 - 申欽 (신흠) (0) | 2025.03.06 |
---|---|
村居 (촌거) - 成運 (성운) (3) | 2025.03.03 |
歸田漫賦 (귀전만부) - 張維 (장유) (1) | 2025.02.23 |
田家謠 (전가요) - 徐居正 (서거정) (0) | 2025.02.21 |
次東坡韻 (차동파운) - 申欽 (신흠)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