蓬萊 楊士彦 詩와 글씨

又次三賢之韻(우차삼현지운) -楊士彦 (양사언)

-수헌- 2024. 11. 7. 14:17

又次湖陰龍門笑仙三賢之韻 贈雪梅 우차호음룡문소선삼현지운 증설매 

또 호음 용문 소선 세 현인의 운을 차운하여 설매에게 주다.

 

白堂簫灑息紅埃 백당소쇄식홍애

홍진 속에서도 백당에서 말쑥하게 사시니

自愛淸寒比雪梅 자애청한비설매

맑고 깨끗함이 설매에 견주어 사랑스럽네

名出强生應外物 명출강생응외물

외물을 받아들여 굳세게 살며 이름이 나니

現非眞相覺須回 현비진상각수회

마땅히 진실 아닌 현실을 깨닫고 돌아오네

飃䬛玉屑由來事 표필옥설유래사

찬바람이 휘몰아쳐 옥가루가 날아오는데도

皎潔瑤華亦自開 교결요화역자개

깨끗하면서 고운 꽃 또한 저절로 피어나니

文章翰墨吾何敢 문장한묵오하감

문장과 글씨를 어찌 내가 평할 수 있으랴만

辜負誇張一世才 고부과장일세재

일세의 재주를 크게 부풀려서 저버리는구나

 

浮生何處說塵埃 부생하처설진애

속된 세상 어디에서 덧없는 생을 이야기하니

世味從來苦李梅 세미종래고리매

세상사는 맛은 자두 매실의 쓴 맛에서 오네

纔渡野橋愁欲破 재도야교수욕파

겨우 들판 다리 하나 건너 근심을 풀고 싶어

便尋山寺興先回 편심산사흥선회

문득 산사의 흥을 찾아 먼저 돌아가는구나

靑羅草帶新春碧 청라초대신춘벽

새봄의 청라 같은 풀색이 짙게 푸르러가고

紅杜花迎舊眼開 홍두화영구안개

붉은 팥배 꽃 맞이하니 예전의 눈이 뜨이네

明月鴒原情話裏 명월령원정화리

밝은 달빛에 형제간의 정다운 이야기 속에

白鷗泉石幾費才 백구천석기비재

백구는 천석에서 재주를 얼마나 낭비하였나

 

※湖陰龍門笑仙(호음용문소선) : 조선 중종~명종 때의 문신 학자들로, 호음(湖陰)은 정사룡(鄭士龍, 1491~1570). 용문(龍門)은 조욱(趙昱,1498~1557). 소선(笑仙)은 성제원(成悌元, 1506~1559)을 말한다.

※雪梅(설매) : 조선 전기의 승려.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서예가인 이암(頤庵) 송인(宋寅,1517~1584)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에 관한 시가 실려 있으나 행적은 알 수 없다.

※世味(세미) : 세상살이에서 겪고 느끼게 되는, 괴로움이나 즐거움 따위의 세상사는 재미

※鴒原(령원) : 척령재원(鶺鴒在原)의 준말로 우애 있는 형제를 뜻한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상체(常棣)의 ‘저 할미새 들판에서 호들갑 떨 듯, 급할 때는 형제들이 서로 돕는 법이네. 항상 좋은 벗이 있다고 해도, 그저 길게 탄식만을 늘어놓을 뿐이네.〔鶺鴒在原 兄弟急難 每有良朋 況也永歎〕’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白鷗泉石幾費才(백구천석기비재) : 백구(白鷗)는 물결 위를 나는 물새로 속박되지 않은 자유로움을 의미하여 야인 또는 은자라는 의미로 쓰이고, 천석(泉石)은 샘물과 돌이라는 뜻이나 자연의 경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노닐며 재능을 낭비했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