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시(季節詩)감상

次立夏日有感韻 (차입하일유감운) - 金尙憲 (김상헌)

-수헌- 2024. 4. 30. 10:33

次立夏日有感韻   차입하일유감운     金尙憲   김상헌 

입하일 유감 시의 운을 차운하다

 

炎帝其君火正臣 염제기군화정신

염제는 임금이고 화정은 그의 신하인데

縓幢絳節御朱輪 전당강절어주륜

분홍 깃대 붉은 깃발로 해를 몰고 가네

葭灰一點先吹律 가회일점선취률

갈대 재 한 점 먼저 율관 위에 날리고

梅雨三更斷送春 매우삼경단송춘

삼경에 매우가 그쳐 봄날을 보내는구나

世路已忘天外客 세로이망천외객

세상은 하늘가의 나그네를 이미 잊었고

韶華又負鏡中人 소화우부경중인

소화 또한 거울 속의 사람을 저버렸네

愁邊只喜宵籌促 수변지희소주촉

수심 속에 밤이 빨리 가는 것만 기뻐서

坐聽隣鷄早報晨 좌청린계조보신

이른 새벽 이웃집 닭 우는 소리를 듣네

 

※炎帝其君火正臣(염제기군화정신) : 염제(炎帝)는 고대 중국 신화에서 여름철을 맡은 신(神)이다. 인간에게 농사를 가르쳤다 하여 염제신농(炎帝神農)이라고도 한다. 화정(火正)은 고대에 불을 관장하던 관원으로 축융(祝融)이라고도 한다.

 

※朱輪(주륜) : 붉은 바퀴라는 뜻으로, 전하여 해를 뜻하는 말로 쓰인다.

 

※葭灰一點先吹律(가회일점선취률) : 옛날에는 가부(葭莩; 갈대 잎 속의 작은 막)를 태워 그 재를 율관(律管; 음악에서 율여를 측정하기 위한 관)에 넣어두고 그 날리는 모습[管灰飛]을 보고 절후를 점쳤다고 한다. 이는 여름에 해당하는 관의 가회(葭灰)가 날려 여름이 시작됨을 말한다.

 

※梅雨(매우) : 매실이 익을 무렵인 초여름에 내리는 장맛비를 말하나, 여기서는 며칠 내리던 봄비를 의미한 듯.

 

※韶華又負鏡中人(소화우부경중인) : 소화(韶華)는 아름다운 봄 경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봄날을 지나며 보니 거울 속 얼굴이 변했다는 의미이다.

 

※宵籌(소주) : 주(籌)는 옛날에 밤의 시간을 알리는 물시계인 경주(更籌)를 말한다. 전하여 시간을 가리키며, 소주(宵籌)는 밤 시간을 의미한다.

 

*김상헌(金尙憲,1570∼1652)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교리, 응교, 직제학을 거쳐 동부승지가 되었다.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 1639년 청나라가 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요구한 출병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청나라에 압송되어 6년 후 풀려나 좌의정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