村居四節用牧隱韻 촌거사절용목은운 李稷 이직
시골의 사계절을 목은의 운을 사용하여 읊다
春 봄
和柔懶困氣浮空 화유나곤기부공
온화하고 나른한 기운이 허공에 떠다니니
萬物生成大化中 만물생성대화중
큰 변화의 가운데 만물이 만들어지는구나
寂寞山村看更僻 적막산촌간경벽
다시 봐도 후미지고 적막한 산골 마을에
杏花開遍倚東風 행화개편의동풍
살구꽃만 봄바람에 의지해 두루 피어났네
夏 여름
火傘張炎蔽大空 화산장염폐대공
불볕 태양이 하늘을 뒤덮어 더위를 펼치니
幾人愁殺在爐中 기인수살재노중
화롯불 속같은 더위에 시름겨운 이 몇인가
堪誇樹密溪深處 감과수밀계심처
빽빽한 나무와 깊은 시내가 자랑할 만하여
赤足當流滿面風 족적당류만 면풍
만면에 바람맞으며 맨발로 물에 들어가리
秋 가을
滿山紅樹欲焚空 만산홍수욕분공
하늘을 태우는 듯한 온 산의 붉은 단풍에
山下人家錦繡中 산하인가금수중
산 아래 인가가 비단에 수를 놓은 듯하네
笑殺心悲搖落客 소살심비요낙객
나그네가 요락을 슬퍼하며 웃어넘기지만
何如大熱與淸風 하여대열여청풍
어찌 큰 무더위와 시원한 바람이 같을까
冬 겨울
慘慘雲凝雪滿空 참참운응설만공
구름이 끼고 눈발이 하늘 가득 애처로우니
悠揚萬鶴舞庭中 유양만학무정중
뜰에서 춤추던 만학이 아득히 나는 듯하네
人間富貴誰如我 인간부귀수여아
인간 세상의 부귀를 누가 나만큼 누렸으리
玉樹瓊林倚晚風 옥수경림의만풍
옥 같은 숲 속에서 저녁 바람에 기대어 본다
※火傘(화산) : 이글거리는 태양을 의미한다.
※搖落(요락) : 늦가을에 나뭇잎이 떨어짐.
*이직(李稷, 1362~1431) : 조선전기 이조판서,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자는 우정(虞庭), 호는 형재(亨齋).
'계절시(季節詩)감상 > 사시사(四時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子夜吳歌四首 (자야오가4수) - 鄭斗卿 (정두경) (1) | 2023.11.27 |
---|---|
畫四時山水八幅 (화사시산수팔폭) - 李敏求 (이민구) (1) | 2023.09.16 |
次韻摩詰田園樂 (차운마힐전원락) - 曺兢燮 (조긍섭) (0) | 2023.09.09 |
次臨風樓紀四時 (차임풍루기사시) - 黃俊良 (황준량) (2) | 2023.09.06 |
李仲和挹淸亭 (이중화읍청정) - 許筠 (허균)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