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3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일본정탐을 마치며2)

이렇게 해서 사명대사(四溟大師)는 1604년 7월 한양을 떠나 일본으로 갔다가 1605년 5월 조선인 피로인 3,500여 명을 데리고 부산으로 돌아온다. 조선 조정은 사명대사가 일본에 가 있는 동안 전혀 그 행적을 모르고 있었다. 심지어는 본토로 건너갔는지 여부와, 도쿠가와(德川家康)와의 회담이 있었는지도 모르고 있다가 1605년 5월 12일 대마도주 평의지(平義智)의 서신을 받고서야 알았다고 한다. 이때는 이미 사명대사도 거의 부산에 도착했을 무렵이니 사명대사가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를 알 수 있다. 사명대사는 5월에 귀국후 6월 초에 조정에 복명하고, 그해 10월 그믐께 묘향산에 들어가서 일본으로 가기 전에 입적한 스승 서산대사의 상(喪)을 뒤늦게 수제(守制) 하였다. 이후 경술(1610)년 8월 26..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일본정탐을 마치며1)

우국충정이 넘쳐흐르는 사명대사(四溟大師)는 일본 탐적을 마치고 조선으로 돌아올 때까지 우리 조정에 연락도 하지 못하고 당연히 우리 조정의 소식도 알지 못하였다. 도쿠가와(德川家康)와의 회담은 잘 마쳤으나 돌아오기 전 같이 올 3천 여명 동포들의 귀환 준비도 해야 하고, 일본 생활을 마무리 하면서도 빨리 돌아갈 마음만 간절하여 가끔 고국 하늘을 바라보며 읊은 시가 많았다. 다음의 시는 돌아올 시일이 임박해진 무렵에 읊은 시들로써 사명대사의 심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夜懷 야회 밤회포 鐘磬寥寥閉竹房 종경요요폐죽방 죽방(竹房) 닫히고 풍경소리 쓸쓸한데 玉爐燒盡水沈香 옥로소진수침향 옥로의 수침향(水沈香)도 다 타들어 가는구나 夜深無月西廊靜 야심무월서랑정 달 없는 깊은 밤 서랑(西廊)은 고요한데 夢斷滄波歸路長 몽..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일본 을 가르치다2)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일본에 머무는 동안에 사명대사의 높은 이름을 들은 왜승들이 가는 곳마다 구름같이 떼를 지어 모여 와서 불도를 구하기도 하고, 말씀을 청하기도 하였다. 그 밖에도 어려운 문제들을 가지고 오는 사람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았으나 일일이 가르쳐 주었다. 혹은 농락하는 시를 지어 주기도 하고 때로는 일본 사람의 패기를 꺾기도 하면서 속 시원하게 깨우쳐 주니 부처를 믿고 복을 구하는 무리들은 이르는 곳마다 사명대사에게 절을 하며 부처님이라고도 하고 조사(祖師)라 칭하기도 하였다.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왜승들에게 써준 찬이나 시는 셀 수 없이 많으나 일일이 소개 할 수 없어 그중 몇수만 소개한다. 達磨後品 달마 후품 달마를 뒤에 평하다 玉毫收彩已多時 옥호수채이다시 옥호(玉毫)가 빛을 거둔 지..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일본 을 가르치다1)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일본에 머무는 동안 많은 일본인에게 가르침을 전하였는데 그중 도쿠가와 이에야쓰(德川家康)의 장자(長子)”도 선학(禪學)에 뜻이 있어 불도를 열심히 구하여 사명대사에게 번거롭게 물으니 그 진리를 한 절귀로 깨우쳐 주기도 하였다. 평소에 사명대사의 이름을 높이 듣고 있었던 이에야쓰도 사명대사를 대함에 경복하게 된 것은 사실인 것 같다. 이번에는 사명대사가 지은 시 중에서, 일본인들에게 불도를 깨우쳐주는 시, 찬(贊)을 구하거나 말을 청한 자들에게 지어준 시, 고승들에게 지어준 시들을 구별하여 몇 회에 나눠 상고하고자 한다. 불도를 가르쳐 준 시(詩) 家康長子有意禪學求語再勤 仍示之 가강장자유의선학구어재근 잉시지 이에야스의 장자는 선학에 뜻이 있어 부지런히 불도를 구하므로 지어주다. 一太空..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일본 각지를 유람하며2)

일본에 건너 간 사명대사(四溟大師)는 유람을 핑계로 일본 곳곳을 정탐하였다. 이때 지은 시를 보면 어떤 때는 바닷가를 지나가며 큰 바다 거센 물결에 배를 타기도 하고, 어떤 때는 골짜기나 들판을 쇠 지팡이를 짚으며 지나고, 시내를 건너고 또 건너고 산을 넘고 넘어 산봉우리에도 올라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때의 사명대사의 행적에 대한 공식 기록은 찾아 볼 수 없고 오직 대사의 시에 의해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상야수 죽림원의 벽에 글을 쓴 것이 3월 그믐이라는 것은 봄을 마지막 보내는 날이라 한 것으로 알 수 있다. 다음의 시는 시기적으로나 내용상으로나 사명대사가 후시미성(伏見城)에서 도쿠가와(德川家康)와의 회담을 끝낸 후 조금 여유로움 속에서 지은 시인 듯하다. 題上野守竹林院壁上 제상야수..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일본 각지를 유람하며)

사명대사(四溟大師)가 교오또(京都) 본법사(本法寺)를 떠나 낭고성(浪古城; 나고야)의 도요토미히데요시(豊臣秀吉)의 결진처(結陣處)로 향한 것은 정월 12일 이후이다. 매화(梅花)가 떨어질 무렵인 2월에 다시 본법사에 왔다가 다시 에도(江戶)로 가서도쿠가와(德川家康)와 회담을 한 것 같으며, 도쿠가와와의 회담을 마치고 조선으로 돌아올 때도 본법사에 들렀던 것 같다. 그러나 사명대사가 대마도를 떠나 왜도로 온 게 섣달그믐께고 조선으로 돌아온 것이 5월 말이니 그동안 일본 각지에 가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많았을 것이나 공식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아쉬울 뿐이다. 回舟浪古城過平秀吉結陣處 회주낭고성과평수길결진처 낭고성으로 배를 돌려 평수길의 결진처를 지나다 玄黄宇宙極洪荒 현황우주극홍황 천지 우주는 한없이 넓고..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本法寺에서)

사명대사(四溟大師)는 1604년 섣달 교또(京都)에 도착하여 섣달 그믐을 본법사(本法寺)에서 지냈다. 사명대사는 이후 본법사에 거주하면서 후시미성(伏見成)에서 도쿠가와(德川家康)와의 회담은 물론 일본 열도를 탐적하는 등 여러 번, 오랜 시간을 본법사에서 보냈다. 또한 사명대사의 명성을 듣고 찾아오는 많은 일본 승려와 명사들에게 불법(佛法)과 학문(學文)도 전수해주고 시문(詩文)도 많이 지어 주었다 한다. 다음 시에서 매화가 졌다고 했으니 음력 2월 경에 지은시인 듯하다. 섣달 그믐날 밤을 본법사에서 지냈으니 상당기간을 본법사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本法寺夜坐 본법사야좌 본법사에 밤에 앉아 旅舘寥寥繞錦屏 려관요요요금병 여관은 비단 병풍 두른 듯 적적한데 夜深趺坐獨惺惺 야심부좌독성성 밤 깊도록 홀로 깨어 ..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교또를 향해)

사명대사(四溟大師)는 적관해협(赤關海峽)에서 세도내해 연안 각지를 유람하면서 관동으로 향하였는데 이는 교오또(京都)로 향하는 도중에도 고오베(新戶), 오사카(大阪)등을 거치며 일본 각지의 풍습과 정세를 관찰하기 위함이 아닌가 한다. 12월 하순 경에 본법사(本法寺)라는 절에 이르러 섣달 그믐날 밤은 본법사에서 지냈다는 것을 미루어 볼 때 대마도를 출발하여 한 달 이상 걸려서 1604년(선조 37년) 12월말에 교오또(京都)에 도착한 것을 알 수 있다. 사명대사는 교오또로 가는 도중 배를 타고 갈 때는 배안에서 밤을 새운 일도 여러 번 있었는데 다음에 소개하는 시(詩)는 교오또에 가는 도중에 여러 곳에서 지은 것으로 추측된다. 舟中夜坐 주중야좌 請纓人去杳千秋 청영인거묘천추 밧줄 청하던 사람 간지 천추에 아..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대마도에서 본토로)

사명대사(四溟大師)는 대마도에서 3개월 이상을 머물다 일본 본토로 가게 되는데 정확히 언제 건너갔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12월 하순에 교토(京都)에 도착하고 섣달그믐을 본법사(本法寺)에서 지냈다는 기록으로 추측할 수 있다. 사명대사가 일본으로 간 것은 처음부터 도쿠가와(德川家康)로부터 강화 요청이 있어서가 아니고 대마도주인 평의지(平義智)가 조선과 화호(和好)를 맺기 위해 도쿠가와를 핑계로 강화를 요청했고, 사명대사에 의해 조선과의 강화가 성립되자 조선과 본국(일본)과의 강화가 성립되지 않으면 후환이 우려되어 평의지가 도쿠가와에게 편지를 보내 도쿠가와의 승인을 받아 일본으로 건너간 것이다. 조선 조정에서는 사명대사가 일본 본토로 건너갔는지 여부도 모르고 있다가 1605년 5월 대사가 돌아오기 직전..

四溟大師-일본으로 가다(대마도에서 2)

사명대사(四溟大師)는 대마도에 머무는 동안 많은 시를 남겼는데 그 내용은 모두 왜도의 연락을 기다리며 잠 못 이루는 초조한 마음과 객지에서 고국에 돌아가지 못하는 심정, 나라를 걱정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그 시어(詩語)는 꾸밈이 없어 단아하면서도 읽는 이의 심금을 울리기에 충분한 것 같다. 在馬島庭菊大發感懷 재마도정국대발감회 대마도 객관에서 뜰의 국화가 만발한 것을 보고 蕭蕭落葉下汀洲 소소락엽하정주 나무 잎 쓸쓸히 물가에 떨어지니 天末歸雲海北秋 천말귀운해북추 구름 돌아가는 하늘끝 바다 북녘도 가을 이겠구나 節過重陽不歸去 절과중양불귀거 절후는 중양(重陽)이 지나도 돌아가지 못하니 黄花空遣遠人愁 황화공견원인수 누런 꽃이 공연히 나그네 시름만 자아낸다 旅遊心緖亂如麻 여유심서난여마 객지의 심회가 뒤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