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平壤善政碑 碑名遺愛 平壤庶尹李元孫
제평양선정비 비명유애 평양서윤이원손
평양 선정비에 쓰다. 비명에 사랑을 남겼으니 평양 서윤 이원손이다.
遺愛歌聲遠播 유애가성원파
전해오는 사랑의 노래 멀리 퍼져서
一夫謠萬人和 일부요만인화
한 사람이 노래하니 만인이 따라하네
抱布握粟買貞玉 포포악속매정옥
베와 곡식으로 곧은 옥돌을 사들이니
一片龜頭浿水左 일편귀두패수좌
한 조각 비석이 대동강 왼쪽에 있구나
浿水東流幾多時 패수동류기다시
대동강은 얼마나 오랫동안 흘렀으나
吏民爭言壬寅規 이민쟁언임인규
이민은 임인년 모범을 다투어 말하네
壬寅今已十八秋 임인금이십팔추
임인년은 지금 이미 18년이 지났지만
死者可作碑可休 사자가작비가휴
죽은 이는 비석을 못 만들게 했으리
※庶尹(서윤) : 조선 시대, 한성부와 평양부에 두었던 종사품 벼슬이다.
※龜頭 浿水(귀두 패수) : 귀두(龜頭)는 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로 비석을 말하고, 패수(浿水)는 대동강의 옛 이름이다.
※吏民(이민) : 지방관청의 아전과 백성을 아울러 말한다.
贈友人 증우인
우인에게 주다.
憶昨吹一葱 억작취일총
예전 풀피리 불던 어린 시절 생각나고
憶昨騎一竹 억작기일죽
예전 죽마 타던 어린 시절 생각나는데
今日相逢淮海頭 금일상봉회해두
오늘날 회해의 입구에서 서로 만나니
君首戴霜我鬚白 군수대상아수백
그대 머리 서리 내리고 나는 수염 희어졌네
君歸江漢對君門 군귀강한대군문
그대는 군문을 마주하려 한강으로 돌아가고
回首陽關淚沾臆 회수양관누첨억
양관에서 머리 돌리니 눈물이 가슴 적시네
※吹蔥(취총) : 아이들 놀이의 일종으로, 파 잎을 입으로 불어 삐삐 소리를 내는 것을 말한다. 전하여 어린 시절을 뜻한다.
※淮海(회해) : 강해(江海) 혹은 강호(江湖) 호해(湖海)와 같은 의미이다.
※君門(군문) : 군왕이 드나드는 문. 즉 대궐을 의미하며 군문을 대함은 조정에 출사함을 의미한다.
※陽關(양관) : 옥문관과 함께 중국에서 서역으로 가는 마지막 관문 이름, 당나라 시인 왕유(王維)가 양관(陽關)에서 친구인 원이(元二)를 이별하면서 지은 위성곡(渭城曲) 이후로 양관은 이별하는 장소의 대명사가 되었다.
'『完譯』蓬萊詩集(완역 봉래시집)-楊士彦 > 長短句(장단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鴛鴦行 寄箕城知己 (원앙행 기기성지기) (0) | 2025.01.29 |
---|---|
白生員挽詞 (백생원만사) (0) | 2025.01.29 |
美人曲 (미인곡) (0) | 2025.01.29 |
上城主求白鵞 (상성주구백아) (0) | 2025.01.29 |
詠白鷺 并序 (영백로 병서)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