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19

蓀谷詩集卷之五 六言絶句

蓀谷詩集卷之五 六言絶句 無題 무제 黃鳥百囀千囀 황조백전천전 꾀꼬리가 백번 천 번을 지저귀고綠楊長枝短枝 녹양장지단지 길고 짧은 버들가지는 푸르구나彤窓綉戶深掩 동창수호심엄 화려한 창과 문은 깊게 닫혀도淚臉愁眉獨知 누검수미독지 눈물 젖은 뺨 수심의 눈썹 나만 아네 又 또處處多逢馬跡 처처다봉마적 곳곳에서 말 발자국 자주 만나니行行且避車塵 행행차피차진 가는 곳마다 마차 먼지를 피하네 長安陌上花柳 장안맥상화류 꽃과 버들 속 서울의 거리 위에는 半是高官貴人 반시고관귀인 반쯤이 고관과 귀인들 행렬이구나 奉呈柳摠戎 봉정유총융 유총융에게 드리다 虎節音容別久 호절음용별구 호절의 음성과 용모 헤어진 지 오래인데邊城消息來疏 변성소식래소 변경에 있는 성 소식은 드물게 오는구나北雁春歸欲盡 북안춘귀욕진 봄이라 기러..

蓀谷詩集卷之五 五言絶句 (4)

蓀谷詩集卷之五 五言絶句 (4) 佛日庵 贈因雲釋 불일암 증인운석 불일암의 인운 스님에게 주다 山在白雲中 사재백운중산은 하얀 구름 속에 있는데白雲僧不掃 백운승불소스님은 흰 구름을 쓸지도 않네客來門始開 객래문시개손님이 와서 비로소 문을 여니萬壑松花老 만학송화노온 골짝에 송화가 만발 하였네 楓岳晴雲 풍악청운 풍악의 맑은 구름 蒼蒼谷口山 창창곡구산 푸르게 우거진 산골짜기 입구上有靑楓樹 상유청풍수 위에는 푸른 단풍나무가 있네有時起晴雲 유시기청운 때맞춰서 맑은 구름이 일더니忽作山頭雨 홀시산두우 갑자기 산머리에 비가 내리네 平沙曉月 평사효월 모래밭의 새벽 달빛 山月照溪沙 산월조계사 산의 달빛이 시냇가 모래밭 비추니曙色明如素 서색명여소 새벽빛의 밝기가 하얀 비단 같구나 不復有人行 불복유인행 오는..

蓀谷詩集卷之五 五言絶句 (3)

蓀谷詩集卷之五 五言絶句 (3) 題畫 제화 그림에 쓰다 翁婦相欣欣 옹부상흔흔 영감과 할멈이 서로 기뻐하면서春來事耕作 춘래사경작 봄이 오니 밭 가는 일에 힘쓰네 高車駟馬人 고거사마인 높은 사마수레를 타는 사람들은誰識田家樂 수식전가락 농가의 즐거움을 그 누가 알리오 ※駟馬(사마) : 말 네 마리가 끄는 수레. 又 또采樵山澗中 채초산간중 산속 개울가에서 나무를 하다가息肩山邊石 식견산변석 산자락 바위 곁에서 어깨를 쉬네遙遙望家山 요요망가산 아득한 고향 산천 그리워하느라不知山日夕 부지산일석 산 너머 해 지는 걸 알지 못하네 宿安州村舍 숙안주촌사 안주의 시골집에서 묵다 積雪千山路 적설천산로 모든 산길마다 눈이 쌓였는데孤煙一水村 고연일수촌 물가 마을에 연기 한 줄기 오르네行人欲投宿 행인욕투숙길 가던..

蓀谷詩集卷之五 五言絶句 (2)

蓀谷詩集卷之五 五言絶句 (2) 送人 송인 그대를 보내며 五月櫻桃熟 오월앵도숙 오월이라 앵두가 익어가고千山蜀魄啼 천산촉백제 온 산에는 두견새 울어대는데送君空有淚 송군공유루 그대 보내니 공연히 눈물만 흐르고芳草又萋萋 방초우처처 방초는 여기저기 우거졌구나 次栗谷韻 題僧軸 차율곡운 제승축 율곡의 시를 차운하여 스님의 시축에 쓰다. 宿鷺下秋沙 숙로하추사 가을 백사장에 백로가 내려 잠들고晩蟬鳴江樹 만선명강수 늦은 매미가 강가 숲나무에서 우네 歸舟白蘋風 귀주백빈풍 배 돌아오니 흰 마름에 바람이 불고 夢落西潭雨 몽락서담우 꿈속에서도 서쪽 못에 비가 내리네 戲題主人壁 희제주인벽 주인의 벽에 장난 삼아 쓰다 秋月照洞房 추월조동방 가을 달이 동방을 비춰주고秋虫啼近壁 추충제근벽 가을벌레는 벽 가까이..

蓀谷詩集卷之五 五言絶句 (1)

蓀谷詩集卷之五 五言絶句 (1) 別李禮長 별이예장 이예장을 보내며 桐花夜煙落 동화야연락밤안개 속으로 오동 꽃잎 떨어지고海樹春雲空 해수춘운공바닷가 나무는 봄 구름에 사라졌네芳草一杯別 방초일배별 풀밭에서 한잔 술로 이별을 하지만相逢京洛中 상봉경락중우리 언제 서울에서 다시 만나세 登驛樓 등역루 객사의 다락에 올라 一片秋天月 일편추천월 가을 하늘에 뜬 한 조각 달에中宵生遠愁 중소생원수깊은 밤에 멀리 시름이 이네江南有孤客 강남유고객 강남에 외로운 나그네 있으니休照驛邊樓 휴조역변루객사의 누각에는 비추지 마오 畫梅 화매 그림 속의 매화 擁腫古槎在 옹종고사재 오랜 그루터기 옹이만 있어도 寒香知是梅 한향지시매찬 향기가 매화인 걸 알겠네前宵霜雪裏 전소상설리어젯밤의 눈과 서리 속에서도尙有一枝開 상유..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6)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6) 病滯 題寧城池樹 병체 제영성지수 병으로 머물며 영성 못가의 나무에 제하다. 湖南留滯又湖西 호남류체우호서 호남에서 머물다가 다시 호서에서 머무니歸路千山夢亦迷 귀로천산몽역미 꿈속에서도 돌아갈 길이 또한 아득하구나近日形容愁病旅 근일형용수병려 요즘 나그네는 병들어 시름하는 모습이라經年消息愧貧妻 경년소식괴빈처 가난한 처의 해가 지난 소식이 부끄럽구나關河行色看詩草 관하행색간시초 강물에 갇힌 행색에 시초나 살펴보면서池院秋晴檢藥題 지원추청검약제 맑은 가을 못가에서 약 처방문을 점검하니盡夕無人來問我 진석무인래문아 저녁 다하도록 나를 찾아오는 사람도 없어不堪庭樹露凄凄 불감정수로처처 뜨락 나무의 찬 이슬을 견디지 못하겠네 ※寧城(영성) : 천안 부근의 옛 지명. 夜行驪江感懷 ..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5)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5) 立春吳體 입춘오체 입춘에 오체로 짓다. 江東客裏逢立春 강동객리봉입춘강동의 객지에 있으며 입춘을 만나니 節物風光愁殺人 절물풍광수살인절물과 풍광이 사람을 시름겹게 하네 盤中生菜不可食 반중생채불가식소반 위의 생나물은 먹을 수가 없는데 門前柳條還欲嚬 문전유조환욕빈문 앞 버들가지는 오히려 움트려 하네 悠悠西塞獨身遠 유유서새독신원아득한 서쪽 변방에 홀로 멀리 있는데 杳杳南國多兵塵 묘묘남국다병진까마득한 남쪽엔 전란이 한창이겠구나中興宗社大臣在 중흥종사대신재종묘사직의 중흥은 대신들에 달렸기에 悵望涕淚沾衣巾 창망체루첨의건서글피 바라보며 눈물로 옷깃을 적시네 ※吳體(오체) : 오(吳) 지방의 시체(詩體)의 하나인데 시어가 통속적이고 비유가 가벼워서, 강남 지방 민가(民歌)의 풍미가 있..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4)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4) 奉送李鵝溪宣慰之行 봉송이아계선위지행 선위사로 가는 이아계를 송별하며 文星辭下紫螭頭 문성사하자리두 문성이 자줏빛 궁궐 섬돌 아래를 물러나니鳳闕晴霞濕翠樓 봉궐청하습취루 궁궐의 갠 노을이 푸른 누각을 적시는구나霜落海田孤驛曉 상락해전고역효 서리 내린 외딴 역 넓은 밭에 동이 트는데葉飛關樹亂峯秋 엽비관수란봉추 잎새 날리는 관문 나무 가을 산이 어지럽네 地連遼左生寒早 지련요좌생한조 요하 근처에 이어진 땅에는 일찍 추워지고江出夷中積氣浮 강출이중적기부 강 흐르는 오랑캐 땅엔 기운이 쌓여 떠있네王事獨賢須努力 왕사독현수노력 나랏일을 마땅히 홀로 어질게 노력하시는데朔風吹弊黑貂裘 삭풍취폐흑초구 삭풍이 불어와 검은 갖옷이 다 헤지는구나 ※李鵝溪(이아계)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영의정을 ..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3)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3) 詠雪 奉呈虛舟 영설 봉정허주 눈울 읊어 허주에게 드리다. 頑雲昨日凍陰昏 완운작일동음혼 어제는 두꺼운 구름에 흐리고 춥고 어둡더니 曉起開窓雪擁門 효기개창설옹문 새벽에 일어나 창을 여니 눈이 문을 막았구나誰作灞橋驢背興 수작파교려배흥 파교 당나귀 등의 시흥은 그 누가 일으켰는지正銷山店客中魂 정소산점객중혼 산 속 주막의 나그네 혼이 바로 녹아버리네初隨去馬迷荒野 초수거마미황야 처음에 말이 가는 대로 거친 들판을 헤매다가旅逐歸人暗遠村 여추귀인암원촌 돌아오는 사람 따라오니 멀리 마을이 어둡네更想郡齋無一事 갱상군재무일사 다시 생각해 보니 관아에 일이 없으시다면可能呼酒對芳尊 가능호주대방존 술자리에 불러서 좋은 술독 마주할 수 있으리 ※灞橋(파교) : 파교(灞橋)는 장안을 흐르는 위수..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2)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2) 暮春尋寺 모춘심사 늦은 봄에 절을 찾아 春山處處聽溪行 춘산처처청계행 봄 산의 곳곳에서 시냇물 소리 들리는데古寺僧期趁晩晴 고사승기진만청 갠 날 저녁 무렵 옛 절 스님과 약속했네深樹鳥鳴時送響 심사조명시송향 깊은 숲 속 이따금 새우는 소리 울려오고滿林花發不知名 만리화발부지명 숲속 가득히 이름 모를 꽃들이 피어났네身依法侶塵緣盡 신의법려진연진 불가 벗에게 의지하니 세속인연 사라지고手把仙經道氣生 수파선경도기생 선경을 손에 잡으니 깨닫는 힘이 생기네更宿中寮最高頂 갱숙중료최고정 가장 높은 절간에서 다시 머물려고 하니 月明鍾磬上方淸 월명종경상방청 달빛 속 풍경 소리 상방에서 맑게 울리네 寄問許典翰 기문허전한 허 전한에게 안부를 보내다 甲山西北接陰山 갑산서북접음산갑산 땅은 서..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1)

蓀谷詩集卷之四 七言四韻 (1) 題衍上人軸 제연상인축 연 상인의 시축에 적어주다 東湖停棹暫經過 동호정도잠경과동호에 지나다가 잠시 배를 멈추었더니楊柳悠悠水岸斜 양류유유수안사강 언덕에 버들가지 하늘하늘 늘어졌네病客孤舟明月在 병객고주명월재병든 나그네 외로운 배 달빛 속에 있고老僧深院落花多 노승심원낙화다노승의 깊은 절엔 꽃잎 많이 떨어졌구나歸心黯黯連芳草 귀심암암연방초돌아갈 마음 고운 풀에 이어져 울적한데鄕路迢迢隔遠波 향로초초격원파고향길은 까마득히 먼 물길에 막혀 있네 獨坐計程雲海外 독좌계정운해외홀로 앉아 구름바다 넘어갈 길 헤아리니不堪西日聽啼鴉 불감서일청제아해 질 무렵 갈까마귀 울음 차마 못 듣겠네 贈行思 증행사 행사에게 주다 曾折河橋疏柳枝 증절하교소류지 일찍이 다리 가에서 버들가지 꺾으니東風芳草..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8)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8) 贈僧普元西歸 증승보원서귀 서쪽으로 돌아가는 보원 스님에게 주다 患氣妨宵臥 환기방소와 환기가 밤잠을 설치게 하니高樓聽曙鍾 고루청서종 높은 누각에서 새벽 종소리 듣네.逢僧身自適 봉승신사적 스님을 만나 몸이 절로 편했는데向俗事多慵 향속사다용 속세에 가면 귀찮은 일 많으리라 落葉迷行逕 낙영미행경 낙엽은 가는 길을 헷갈리게 하고孤舟杳去蹤 고주묘거종 외로운 배는 지난 자취 아득하네西歸問法日 서귀문법일 서쪽에 돌아간 날 불법을 배우며棲息定何峯 서식정하봉 어느 봉우리를 정하여 지내시려나 ※患氣(환기) : 두보(杜甫)의 시에서 호흡기 질환을 환기(患氣)라고 하였다. 주석에는 폐병이라고 하였다. 여기서는 기침이 나는 병 정도로 이해된다.※高樓聽曙鍾(고루청서종) : 원문(原文)에서 曙(새..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7)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7) 過扶餘有懷 과부여유회 부여를 지나며 느끼는 감회가 있어 喬木城池變 교목성지변 성의 못은 높은 나무로 바뀌고官墻縣邑居 관장현읍거 관청의 담장은 고을이 차지했네山河百戰後 산하백전후 온갖 전쟁 치른 뒤의 산천에는籬落幾村餘 이락기촌여 몇몇 마을에 울타리만 남았구나古岸碑文毀 고안비문회 옛 언덕 비석 글자는 훼손되고荒田土脈疏 황전토맥소 황폐한 밭에는 토맥도 거칠구나成忠墓何在 성충묘하재 성충의 무덤은 어디에 있는지駐馬獨欷歔 주마독희허 말을 세우고 홀로 흐느껴 우네 ※成忠(성충, ?∼656). 백제 말기의 충신. 좌평(佐平)으로 있을 때 왕이 신라와의 싸움에서 연승하여 자만과 주색에 빠지자, 국운이 위태로워짐을 극간하다가 투옥되었다. 弘農城外 別李佐郞子張 홍농성외 별이좌랑자..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6)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6) 奉送申令公之任江陵 봉송신영공지임강릉 강릉으로 부임하는 신영공을 송별하며 嶺外江陵府 영외강릉부 대관령 밖의 멀리 강릉 고을은雲沙近海城 운사근해성 구름과 모래 바다 옆의 성읍이니滄溟看日出 창명간일출 푸른 바다의 해돋이를 바라보고廨宇聽濤聲 해우청도성 관아에서 파도 소리를 듣겠구나乞郡親猶老 걸군친유로 늙은 어버이 위해 고을을 청하여爲官衆所榮 위관중소영 벼슬하니 사람들에게 영예로우며寒松鏡浦月 한송경포월 한송정과 경포대에 달빛 비치면因起舊遊情 인기구유정 예전에 놀던 정취가 일어나리라 次邀月堂韻 차요월당운 요월당의 운에 차운하여 河漢幾時望 하한기시망 은하수를 몇 번이나 바라보고嫦娥今夜邀 상아금야요 오늘 밤에야 항아를 맞이하니 流光入懷袖 유광입회수 달빛 흘러 가슴과 소매..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5)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5) 端陽述懷 단양술회 단오절의 회포를 적다 今日端陽節 금일단양절 오늘이 단오절이라令人憶故鄕 영인억고향 사람들에게 고향 생각하게 하네 松楸留塚墓 송추류총묘 소나무 가래나무 있는 무덤에는 隣里聚衣裳 인리취의상 이웃에서 의관 갖추고 모여드네 角黍殊方事 각서수방사 각서 만드는 건 다른 나라 일이고菖醪舊俗觴 창료구속상 창포주잔 돌리는 건 옛 풍속일세旅窓臨曉鏡 여창임효경 여창에서 새벽에 거울을 대하니鬢髮更滄浪 빈발경창랑 귀밑털이 푸른 물결로 바뀌었네 ※端陽(단양) : 오월 오일 단오절(端午節)의 별칭. ※松楸(송추) : 소나무와 가래나무로 이들을 묘역(墓域)에 많이 심는다 하여 선대 무덤의 별칭으로 많이 쓰인다.※角黍(각서) : 중국에서는 단옷날에 죽은 굴원(屈原)을 애도하며 대나..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4)

蓀谷詩集卷之三 五言律 (4) 定山東軒 정산동헌 野水入墻竇 야수입장두 들판의 물이 담 구멍으로 드니主人深意存 주인심의존 주인의 깊은 뜻이 남아 있구나自能流處滿 자능류처만 저절로 흐르는 곳에 가득 차니還愛靜中喧 환애정중훤 고요 속에 시끄러워서 좋구나寂寂古軒下 적적고헌하 고즈넉한 옛집의 추녀 아래에冷冷秋竹根 냉냉추죽근 가을 대나무 뿌리에 차갑구나淸宵聽不寐 청소청불매 맑은 밤 잠 못 이루고 들으니更覺滌昏煩 갱각척혼번 번뇌가 씻겨짐을 다시 깨닫네 別沈秀才大亨 별심수재대형 수재 심대형을 이별하며 避地來西海 피지래서해 난리를 피하여 서쪽 바다로 왔다가携家又北遷 휴가우북천 가족을 이끌고 다시 북으로 떠나네艱難如舊日 간난여구일괴롭고 어렵기는 지난날과 같은데漂泊到今年 표박도금년 떠돌아 다니다가 올해에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