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元夜臥占 상원야와점 尹愭 윤기 정월 대보름 밤에 누워서 舊俗踏橋十五宵 구속답교십오소옛 풍속에는 보름날 밤에 답교를 하며 少年喧笑競招邀 소년훤소경초요소년들이 웃고 떠들며 서로 불러냈는데 臥思明月霜橋響 와사명월상교향누워서 서리 내린 달 밝은 다리 생각하니 縱不踏橋亦踏橋 종부답교역답교답교하지 않아도 답교한 것과 같구나 ※踏橋(답교) : 정월 대보름 밤에 그해의 다리 병[脚疾]을 물리치기 위해 풍악을 울리며 다리 위를 밟고 거니는 풍속이다. 다리밟기라고도 한다. 上元 兒輩放紙鳶 謂之送厄 戲題其背 尹愭 상원아배방지연 위지송액 희제기배 윤기대보름날 아이들이 연을 날려 보내며 액을 떠나보낸다고 하기에 장난 삼아 연 등에 써주었다. 放爾千山萬水過 방이천산만수과너를 놓아 보내니 천 산 만 강 다 지나 乘風一去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