班荊 2

途中遇贊師 (도중우찬사) 外 - 四溟大師 (사명대사)

途中遇贊師 도중우찬사 길에서 찬사를 만나다 班荊列坐黃芽地 반형렬좌황아지 우연히 벗을 만나 풀밭에 둘러앉으니 要緊天風酒一杯 요긴천풍주일배 바람도 맑은데 술 한 잔이 요긴하네 飲罷遙看歸去路 음파요간귀거로 술 마신 뒤 멀리 돌아갈 길 바라보니 青山如待主人廻 청산여대주인회 청산이 주인 오기를 기다리는 듯하네 ※班荊(반형) : 옛 친구를 만난 기쁨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다. 춘추시대 초(楚) 나라 오거(伍擧)가 채(蔡) 나라 성자(聲子)와 세교(世交)를 맺고 있었는데, 두 사람이 우연히 정(鄭) 나라 교외에서 만나 형초(荊草)를 자리에 깔고 앉아서 [班荊] 옛이야기를 주고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鳴沙行 명사행 명사를 가면서 細雨鳴沙三月時 세우명사삼월시 때는 삼월인데 명사에 부슬비가 오고 杏花零落客思歸 행화영락..

飮酒二十首(음주이십수) 其十四

飮酒 음주 其十四 陶淵明 도연명 故人賞我趣 고인상아취 오랜 벗이 내 취미를 즐기려고 挈壺相與至 설호상여지 무리 지어 술병 들고 찾아왔네 班荊坐松下 반형좌송하 소나무 아래에 관목 깔고 앉아 數斟已復醉 수짐이부취 몇 잔 술 주고받으니 이내 취했네 父老雜亂言 부노잡난언 어지러이 떠드느라 어른들에게 觴酌失行次 상작실행차 술 따르는 순서도 잊어버렸네 不覺知有我 불각지유아 취하여 나 자신조차 알지 못하는데 安知物爲貴 안지물위귀 부귀와 명예 따위를 어찌 알겠나 悠悠迷所留 유유미소유 한가로이 변치 않고 빠져드니 酒中有深味 주중유심미 술 속에 깊은 뜻이 있구나 ※班荊(반형) :옛 친구를 만난 기쁨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다. 춘추시대 초(楚) 나라 오거(伍擧)가 채(蔡) 나라 성자(聲子)와 교류하고 있었는데, 두 사람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