蓬萊 楊士彦 詩와 글씨
贈雲上人 (증운상인) 外 - 楊士彦 (양사언)
-수헌-
2023. 5. 13. 11:20
贈雲上人 증운상인
운상인에게 드리다
朝朝靑海上 조조청해상
아침마다 푸른 바다 위를 거닐고
暮暮碧山中 모모벽산중
저녁마다 푸른 산중에 들어오네
去住無心着 거주무심착
가고 멈춤을 생각 없이 정하니
生涯空復空 생애공복공
사는 일이 텅 비고 또 비었구나
贈遠上人 증원상인
원상인에게 드리다.
遠師鳴雷鼓 원사명뇌고
멀리 스승께서는 뇌고를 울리면서
乾坤頓覺掀 건곤돈각흔
건곤에서 문득 불법을 깨달았네
餘音散巖壑 여음산암학
남긴 말씀이 산골짜기에 흩어져서
草木盡欲言 초목진욕언
초목에게도 말을 다 하고자 하네
※頓覺(돈각) : 불교의 참뜻을 문득 깨달음
書元上舍紙窓 서원상사지창
원상사의 종이창에 쓰다
吹笛峯陰入睡鄕 취적봉음입수향
취적봉의 그늘은 꿈나라에 들어가고
北窓幽夢到羲皇 북창유몽도희황
북창의 그윽한 꿈 희황 시대에 이르렀네
樵歸小洞靑苔靜 초귀소동청태정
나무꾼 돌아오는 계곡에 이끼 가득한데
棋罷懸壺白日長 기파현호백일장
바둑 끝내고 술병 걷으니 해만 길뿐이네
※睡鄕(수향) : 잠을 자는 동안 마음이 가 있는 곳. 잠의 세계, 꿈나라.
※北窓羲皇(북창희황) : 진(晉) 나라 때의 도잠(陶潛)이 어느 여름날에 청풍이 불어오는 북쪽 창 아래에 누워서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자 스스로 희황(羲皇) 이전 시대 사람으로 여겨진다고 했던 데서 온 말로 한가로이 지냄을 말한다.